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2

NPM, Package.json

거위발바닥 2022. 9. 29. 12:16

npm 은 노드 패키지를 위한 저장소로

패키지는 다른 사람이 쓴 코드를 우리가 쓸 수 있게 해준다.

 

터미널에 

npm i give-me-a-joke
npm i colors

등을 입력해서 폴더에 해당 npm을 설치하고 npm의 설명에 따라 해당 npm을 require 한 다음 js를 작성 할 수 있다.

var giveMeAJoke1 = require('give-me-a-joke');
var colors = require('colors');
giveMeAJoke1.getRandomDadJoke(function (joke) {
    console.log(joke.rainbow);
})

해당 index.js의 코드이다.

이후 터미널로 index.js를 실행하면 두개의 npm이 작동한다. 

npm를 로컬설치가 아닌 글로벌 설치를 하고 싶다면

npm i -g cowsay

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Package.json

npm init

해당 명령어로 package.json을 만든다.

이후 새로운 npm을 설치하면 package.json에서 해당 npm의 dependencies를 업데이트 한다.

이렇게 package는 이 앱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기록한다.

 

github 등에서 다른 사람들의 파일을 받았을때, npm이 있는 node_modules 은 없이 공유된다.

그렇다면 그 파일에서 필요한 npm은 받은 파일의 package.json의 dependencies에 있는데,

해당 npm의 수가 적다면 npm i express 등등 을 수동으로 입력해서 받을 수 있지만, 그 수가 많다면 일일히 

받을 필요 없이

npm install

을 입력해주면 해당 package.json에 있는 dependencies를 기반으로 필요한 모든 npm을 받아준다.

 

'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xpress로 app 만들기 -> 쿼리선택자까지  (0) 2022.09.29
Node js 모듈과 NPM  (0) 2022.09.28
Node js 비동기화,동기화, FS 모듈  (0) 2022.09.28
Node.js 기본  (0) 2022.09.28
터미널 명령어  (0) 2022.09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