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 10

객체 Property & Method

해당 코드는 coworkers라는 객체에 ShowAll이라는 Property를 만들어 (key는 Property를 가리킬때 사용된다.) 객체에 function 을 만드는 코드이다. 이때 객체로 만든 function 을 Method 라고 한다. for(var key in coworkers) { document.write(key+ ' : ' + coworkers[key]+' '); } 위 코드와 비교해 coworkers가 아닌 this 를 넣는 이유는 id value 값을 지정할때와 비슷하게, id 값이 변하면 value 값을 바꿔줘야 하는 일이 벌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his를 넣었던것 처럼 위 코드도 coworkers의 값이 변하면 함수 안의 coworkers를 전부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this ..

JAVASCRIPT 2022.09.05

함수 이용 EX

위와 같은 긴 코드를 함수처리 하기 위해 복붙하면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. 위 코드는 html의 에 종속되어 있는 코드이기 때문에 해당 코드의 id value 값을 뜻하는 this.value는 종속된 코드의 this이므로 함수값으로 올려버리면 위의 input value 값을 인식할 수 없게 되버리기 때문이다. 즉, 위 코드를 함수값으로 올리려면 function nightDayHandler(self){ var target = document.querySelector('body') if(self.value === 'night'){ target.style.backgroundColor = 'black'; target.style.color = 'white'; self.value = 'day'; var link..

JAVASCRIPT 2022.09.05

Return 함수

return 을 사용하면 실행중이던 함수를 멈추고 주어진 값을 함수의 호출지점으로 반환한다. function sum2(left, right){ return left+right; } 매개변수 left right 값을 받고 left + right 로 반환한다. 즉, sum2(2,3)은 5를 반환 따라서, document.write(sum2(2,3)); 은 5를 출력하게 된다. function sum(left, right){ document.write(left+right+' '); } 위 코드와 return 을 사용한 코드의 차이점은 return 을 사용하지 않은 아래의 함수는 left right 의 인자값을 매개변수로 받아 더한 다음, 바로 화면에 write 하기 때문에 해당 출력값에 css 값을 주거나 h..

JAVASCRIPT 2022.09.05

22년 9월 4일 - 2

정렬 var coworkers = ["egoing","leezche"]; coworkers 라는 변수에 2개의 string 넣음 get add count document.write는 출력하는 역할을 함 반복 1 2 3 4 이 배열중 2 3 을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함. 지정한 횟수를 알기 위해서 i 라는 변수를 사용 var i = 0; 변수 i 의 초기값은 0 while이 반복문 이므로 while의 영향을 받는 document.write('2'); document.write('3'); 2,3 반복문 이 실행될때마다 i에 1씩 더하는 i = i + 1; 코드를 사용하면 반복횟수만큼 0이였던 i에 1씩 더해지므로 위처럼 while(i < 3) 를 사용하면 i의 값이 1씩 더해져 3이 될때까지 반복을 함 2번 ..

JAVASCRIPT 2022.09.04

22년 9월 4일 - 1

자바스크립트에서 string 은 문자라는 뜻 'Hello World'.length 라고 하면 string 프로퍼티인 length로 인해 Hello World의 글자 수가 나온다. ' 글자 ' 에서 ' ' 는 문자열로 처리를 해줌 (string) 'Hello World'.indexof(World) 처리를 하면 World라는 글자가 몇번째에 있는지 숫자로 알려준다. (6) var name = 'KIM'; 변수 대상 지정 ( 앞의 var은 variable 의 약자 ) alert("Hi my name is "+name+"!! good") 라고 하면 alert 안의 "+name+" 으로 변수처리가 되었기에 위 name = 'KIM' 의 이름 KIM이 나온다. 출력값은 true 해당 출력값 true 와 false를..

JAVASCRIPT 2022.09.04